IT 서비스·제품 리뷰/서비스 리뷰

부업 전성시대 쏘카 핸들러 솔직 후기1 - 쏘카 핸들러가 뭐야?

IT항해자 2025. 4. 6. 23:00
728x90
반응형

취미삼아 짜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쏘카 핸들러"를 4개월 정도 해본 솔직한 후기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이번 편은 쏘카 핸들러의 구조에 대해 잠깐 알고 가면 좋을 것 같아, 해당 내용을 먼저 공유 드립니다.


 

쏘카 핸들러란?

  카쉐어링 서비스 '쏘카'는 기본적으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쏘카존에서 차를 빌리거나 반납해야 합니다. 다만, 쏘카존이 너무 멀리 있거나, 사정 상 차를 현재 있는 위치에서 바로 써야 하는 수요가 있을 수 있겠죠? 이런 고객들을 위해 쏘카에서는 차를 특정 위치로 호출하거나 특정 위치에 반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유료 서비스 입니다.)
그렇다면 누군가는 쏘카존에서 차를 고객이 부른 곳에 가져다 놓거나(배차), 또는 다음 이용자를 위해 고객이 마지막으로 주차한 곳에서 다시 쏘카존에 차량을 반납(반차)해야 하겠죠? 이런 '배차, 반차'를 쏘카 직원이 하는 게 아니라, 쏘카에 핸들러로 등록한 유저들이 기사가 되어 일정 돈을 받고 해주는 서비스가 쏘카 핸들러입니다. 일종의 쏘카 전체 서비스 중 일부 영역의 위탁 형태로 봐도 무방합니다.
'전기차 충전, 정비소 이동' 등 일부 다른 목적의 핸들러 건이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배차/반차가 대부분입니다.


 핸들러는 특별히 큰 사고 경력이 있는 게 아니라면, 운전면허만 있으면 신청도 매우 간단하고, 약간 프리랜서 개념으로 대리운전 콜을 잡듯이 반차/배차 콜을 잡기 때문에, 아마 수 만 명이 신청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역에 따른 편차는 있겠지만 이렇게 다수의 사람들이 핸들러를 하기 위해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쏘카는 배차/반차를 할 수 있는 것이죠.
과거에 "쏘포터즈"라고 해서, 거의 동일한 서비스가 있었는데요, 이때는 돈 대신 쏘카를 이용할 수 있는 '머니'를 지급했었습니다. 아마 이 당시 테스트를 통해 학습을 한 쏘카에서,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핸들러를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쏘카에 '부르기' 기능이 있기 때문에 쏘포터즈가 있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쏘카에서 핸들러를 활용하는 이유?

 그렇다면 쏘카는 왜 굳이 핸들러를 활용할까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습니다. 

  1. 비용 절감
     언제 어디서 발생될지 모를 고객의 쏘카 호출, 반납 수요 예측을 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전국적인 대응을 위해 전담 직원을 두려면 엄청난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겠죠? (단순하게 시/군 별로 1명씩 두더라도 약 200명이 필요합니다. 서울/경기 등 수요가 많은 곳은 더 많이 필요할테니, 대충 생각해도 엄청나게 많은 인력이 필요하겠죠?) 이러한 비용을 고정비로 지출하면 쏘카는 아마 금방 망할 겁니다(모두가 자동차 대신 쏘카를 타면 망하진 않을 것같습니다).
     결국 전국에 포진해 있는 핸들러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게 한다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됩니다. 게다가 시간 당 비용을 주는 게 아니라, 실제 고객의 호출 수요가 발생됐을 때 해당 건에 대해서만 핸들러에게 처리 비용을 지급하면 되니, 매우 효율적으로 비용 관리가 될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만족도 향상
     모든 고객은 당연히 즉시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합니다. 앞서 예시를 든 케이스에서 거리와, 수요를 예측해서 전담 직원들을 뒀다고 합시다. 별로 수요가 없는 지역이라 1명만 둔 지방에 있는 시에서, 예상치 못하게 한번에 3건의 주문이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 시에서 아무리 빨리 오더라도 대응하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차량 배차가 늦어져 고객이 주문을 취소할 수도 있겠죠?
     다음 편에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핸들러는 배차/반차 리스트를 모두가 똑같이 보고 있는데다, 시간이 지날 수록 지급 금액이 올라가기 때문에, (모두가 괜찮다라고 생각할 만한)일정 금액이 넘으면 누군가는 해당 건을 꼭 잡게 되어 있습니다. 굳이 회사에서 힘들게 관리하지 않아도 고객에게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728x90
반응형